광고 ROAS = 매체 광고 성과 ?광고 캠페인 ROAS를 보고 광고에 대해 수정하신 적이 있으신가요?ROAS가 잘나오는 광고와 그렇지 않은 광고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ROAS가 좋지 않아 광고 소재를 바꿔보고, 타겟을 바꿔보고, 매체를 확장해보고, 상세페이지도 바꿔보고모든 부분을 수정해봤지만 성과가 개선되지 않아 답답한 경우를 있으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62% 상승, 누적 매출 1,500억 달성 등의 결과를 만들어내며 광고 성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해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잘 되는 상세페이지와 안되는 상세페이지의 차이점 위 이미지들은 각 영역에서 1등하고 있는 제품 상세페이지 도입부입니다. 혹시 다른 점이 무엇인지 보이시나요?네, 보여지는 문구들은 다르지만 차이점은 없습니다. 다만, 고객에게 소구하는 순서가 다를 뿐입니다. 😓 잘되는 상세페이지의 4단계 구성 잘되는 상세페이지는 4단계로 구성으로 구분 될 수 있어요. 1단계, 문제 제기2단계, 문제 해결3단계, 신뢰(공신력 활용)4단계, 구매 후기 아마 이 4가지 단계는 익히 들어보셔서 익숙하시겠지만 가장 기본적인 구성이라 보시면 됩니다. 잘되는 상세페이지 첫번째 단계 _ 문제 제기 첫번째 단계인 <문제 제기> 부분에서는 중요한 것은 2가지에요. 1. 불편함2. 공감 2가지 키워드들은 <문제 제기>에서 어떤 역할을 하기에 중요하다고 하는지 자세히 살펴보시죠! 잘되는 상세페이지 첫번째 단계 _ 문제 제기(불편함) '불편'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것을 사용하거나 이용하는 것이 거북하거나 괴로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즉, 우리 서비스를 선택하려는 고객들이 어떤 불편함을 겪고있는지 아는 것이 상세페이지의 첫 시작이에요! 또한, 사람들은 긍정적인 관점보다 부정적인 관점에 크게 와닿아요!하여 불편함을 상세페이지 상단 부분에 구성함으로써 이목을 집중시켜 제품/서비스에 집중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어요. 잘되는 상세페이지 첫번째 단계 _ 문제 제기(공감) 앞서 불편함을 통해 고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면, 불편함으로 생기는 상황을 보듬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불편함으로 생기는 상황에 대해 동질감을 느끼게하여 제품/서비스에 대한 궁금증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어요. 현재 우리의 상세페이지 상단 구성이 불편함/공감이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첫번째 편을 마치며... 처음으로 문제를 제기했다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구성들이 들어가야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다음편에 만나요 😊